생활
2025년 청년 대상 정부 취업 지원 제도 총정리
infoster
2025. 7. 3. 01:31
728x90
2025년 청년 대상 정부 취업 지원 제도 총정리
청년 취업난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는 다양한 청년 취업 지원 정책을 운영 중입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적용 가능한 대표 정책들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지금 확인하고 놓치지 말고 활용하세요.
1. 청년도약계좌 (2025년 신설)
- 대상: 만 19~34세 이하 근로 청년
- 내용: 매월 최대 70만 원 납입 시, 5년 후 5,000만 원 수령 가능
- 신청 방법: 시중은행 또는 청년도약계좌 전용 앱
2. 국민내일배움카드 (직업교육 지원)
- 지원 내용: 최대 500만 원까지 직업 훈련비 지원
- 대상: 미취업자, 프리랜서, 경력단절 청년 등
- 신청: 고용노동부 HRD-Net 사이트 또는 앱
3.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대상: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 (만 15~34세)
- 기업 혜택: 채용 후 1년간 최대 960만 원 지급
- 청년 혜택: 고용 안정성 및 정규직 채용 확대
4. 청년내일채움공제 (2025 종료예정)
2025년 하반기 종료 예정이므로 조기 신청 필요합니다. 중소기업에 2년간 근무 시 최대 1,200만 원 목돈 마련 가능.
5. 결론
정부의 청년 취업 지원 제도는 단순한 일자리 연결을 넘어 직무 역량 강화, 목돈 마련, 안정적인 커리어 시작을 위한 발판입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제도를 빠르게 파악하고 신청해보세요.
※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