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년 청년 필수 지원제도 7가지
출처: Pexels - August de Richelieu
1. 청년 행복주택 3.0 확대 시행
2025년부터 전세자금 대출 이자율이 기존 1.5%→1.2%로 인하되며, 신규 공급 물량의 30%를 초혼부부에게 우선 할당합니다. 최대 3억원까지 대출 가능하며 특별자치시에서는 5년 거주 시 10% 대출금 감면 혜택이 추가됩니다.
2. 청년 창업패키지 2025
- 초기자본금 지원: 최대 5천만원(ICT 분야 7천만원)
- 성장지원금: 매출 증가율 따라 3천만원 추가 지급
- 멘토링 지원: 전국 50개 대학 창업보육센터 연계 운영
출처: Unsplash
3. 도약형 국가장학금 2종
기존과 달라진 2025년 제도의 핵심은:
구분 | 지원금액 | 신청자격 |
---|---|---|
유형1 | 학기당 350만원 | 중위소득 80% 이하 |
유형2 | 학기당 250만원 | 중위소득 120% 이하 |
4. 청년 문화패스 확장
만 19-34세 전국민에게 월 5만원 문화바우처 제공. 공연·전시 관람뿐 아니라 온라인 교육 플랫폼 3개사(멋쟁이사자처럼, 클래스101 등) 강의 수강 가능한 점이 새로워졌습니다.
출처: Pexels
5. 지역특화 청년정착지원금
수도권 이외 지역으로 이주 시 1인 가구 2,000만원, 가족 단위 3,500만원 지원. 2025년 새롭게 강원 양구군‧전남 신안군 등 12개 지역이 추가 지정되었습니다.
6.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지원
- AI 기본과정: 400시간 전액 무료(취업연계 필수)
- 메타버스 전문가 양성: 수료생 전원 실증특구 입주 지원
- 블록체인 핵심기술: 이수 시 최대 300만원 추가 인센티브
필수 확인 사항
- 신청기간: 2025.1.5~2025.2.28(지자체별 상이)
- 제출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원본, 금융거래확인서
- 특이사항: 전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은 온라인 접수만 가능
※ 모든 지원금 신청은 정부24 포털(www.gov24.kr)에서 통합처리 가능하지만, 일부 지자체 한정 프로그램은 지역청년청 홈페이지 확인 필수입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워치로 완성하는 일상 건강관리 5단계 (2025년 최신) (0) | 2025.07.06 |
---|---|
2025년 IRP 계좌 활용한 확실한 절세 전략 (0) | 2025.07.06 |
공공자전거 이용 꿀팁 – 2025년 서울 따릉이 완전 정복 가이드 (0) | 2025.07.03 |
2025년 폭염 대비 행동 요령 – 건강과 전기세 동시에 지키기 (1) | 2025.07.03 |
스마트워치로 건강관리하는 방법 – 앱 연동부터 혈압 측정까지 (0) | 2025.07.03 |